Analysis
-
인텔 프로세서의 보안 결함 좀비로드(ZombieLoad aka MDS) 분석Analysis 2019. 5. 15. 23:42
좀비로드(ZombieLoad)란? 인텔의 스펙터(Spectre), 멜트다운(Meltdown), 그리고 포어쉐도우(Foreshadow)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전 세계적으로 한바탕 엄청난 소동이 일었다. 거의 반독점이라 할 수 있는 인텔의 PC와 서버용 칩셋 대부분이 해당 취약점들에 취약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 그에 버금가면서 훨씬 더 강력한 새로운 취약점, 좀비로드(ZombieLoad)가 발견되었다. 좀비로드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타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훔쳐볼 수 있는 취약점이며, 2011년 이후 출시된 대부분의 인텔 프로세서에 적용이 가능하며, 심지어 가상머신(Virtual Machine) 내부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도 접근 가능한 치명적인 취약점이다. PC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서 사..
-
Google I/O 2019 들여다보기Analysis 2019. 5. 10. 22:37
Google I/O는 매년 열리는 구글의 개발자 대상 컨퍼런스이다. 2008년부터 시작된 이 행사는 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주목하는 컨퍼런스 중 하나가 되었다. Google I/O에서 I/O의 의미는 "Input/Output"을 뜻하기도 하고, "Innovation in the Open"을 뜻하기도 한다. Google I/O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둘 중 하나에 집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는데, Google I/O 2019에서는 2018년에 비해 더 많은 하드웨어 제품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Google I/O의 키노트 영상이다. 그럼 이제부터 Google I/O에서 소개된 내용들 중 흥미있는 항목들에 대해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누어 알아보겠다. Hardware Pixel 3a and 3a XL 구..
-
Google Stadia 분석: Future(전망)편Analysis 2019. 5. 10. 19:12
Stadia's Future GDC의 Stadia 발표에서 구글이 하고 싶은 것이 단순히 기존 게임을 스트리밍하는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얻는 모델이 아닌 신규 게임 플랫폼 홀더로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소니, 마이크로소프트, 닌텐도 등 기존 게임 플랫폼 홀더들과 동일선상에서 경쟁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 판단 근거는 다음과 같다. Stadia 서버에 대한 대규모 투자: AMD 협력, 서버 생산, 지역별 데이터센터 구축, 전용망 대역폭 확보 게임 툴 업체와의 협력 비용: Unity, Unreal, Havok, Cryengine, etc. Stadia 신규 인력 채용 규모 Stadia Games and Entertainment 설립 비용 구글은 상당한 스펙의 Stadia 서버를 ..
-
Google Stadia 분석: Ecosystem(생태계)편Analysis 2019. 5. 10. 19:08
Stadia Ecosystem Stadia는 여러 가지 새로운 Feature들을 소개하였는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게임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게임을 제작해야 한다. 대부분의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가 기존의 게임을 수정하지 않고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과는 사뭇 다른 방향이다. 개발사 입장에서는 Stadia 전용 게임 개발에 대한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에, 구글 입장에서 개발사들이 Stadia 게임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과정에 상당한 초기 비용이 들어갈 것이다. 구글은 게임 개발사들이 Stadia에 게임을 내도록 유도해야 하는 숙제를 가지고 있다. 게임 개발 생태계를 지원하기 위해 구글은 다양한 지원을 발표했다. Game Engine 현대의 게임 개발은 자체적인 게임 엔진을 보유한..
-
Google Stadia 분석: Performance(성능)편Analysis 2019. 5. 10. 19:03
Stadia Performance Stadia 발표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은 바로 런칭 시점에 4K 비디오를 60 FPS로 제공하고, 향후 8K로 확장한다는 부분이었다. 만약 구글이 발표한 성능이 스트리밍을 포함한 end to end delay라면 이 발표는 너무 심한 과장이라고 볼 수 있다. 서버에서 렌더링 처리가 완료된 시점부터 계산을 하더라도 한 장의 최종 4K 화면을 인코딩 -> 네트워크 전송 -> 디코딩 -> 클라이언트단의 렌더링하는 전체 과정이 16ms 이내에 완료되어야 한다. 버퍼링이 가능한 비디오 스트리밍에서도 달성하기가 쉽지 않은 수준인데, 버퍼링이 불가능한 게임 스트리밍에서 현재의 네트워크와 장비를 이용해 이와 같은 성능을 보이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솔루션을 구..
-
Google Stadia 분석: Specification(사양)편Analysis 2019. 5. 10. 19:00
Stadia Specifications Stadia는 클라우드 서버를 그 근간으로 하고 있다. 현대의 클라우드 서버는 여러대의 서버 인스턴스를 모아놓은 랙과 이 랙들이 모여있는 거대한 룸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하나의 서버 인스턴스를 블레이드 서버라고 지칭한다. 책장에 꽂힌 책들처럼 여러 대의 블레이드 서버가 모여 클라우드 서버를 구성한다. 구글은 Stadia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서버의 하드웨어 사양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GPU CPU Memory 10.7 Teraflops 56 compute units HBM2 Memory Custom x86 Processor 2.7 GHz Hyperthreaded AVX2 16 GB of total RAM Up to 484GB/s transfer speed..
-
Google Stadia 분석: Features(기능)편Analysis 2019. 5. 10. 18:57
What Google Stadia는 2019년 GDC에서 구글이 발표한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이다. 기술적으로는 유투브와 유사한 형태의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한다. 스트리밍 게임과 일반 게임의 관계는 현재의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와 과거 mp3 파일의 관계와 유사하다. 과거에는 mp3 파일 형태의 음원을 구입하고, 다운로드 받고, 이를 사용자의 기기에서 직접 재생한 반면에, 현재의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는 사용자의 기기에 파일 형태로 음원을 저장하지 않고 서버의 음원을 사용자의 기기로 전달하여 재생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 기존 게임도 이와 유사하게 게임을 구매하고,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기기에서 직접 게임을 실행했다. 하지만 스트리밍 게임은 이와는 다르게 클라우드 서버에서 실행한 게임을..
-
Google Stadia 분석 (통합본)Analysis 2019. 5. 8. 20:48
What Google Stadia는 2019년 GDC에서 구글이 발표한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이다. 기술적으로는 유투브와 유사한 형태의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한다. 스트리밍 게임과 일반 게임의 관계는 현재의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와 과거 mp3 파일의 관계와 유사하다. 과거에는 mp3 파일 형태의 음원을 구입하고, 다운로드 받고, 이를 사용자의 기기에서 직접 재생한 반면에, 현재의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는 사용자의 기기에 파일 형태로 음원을 저장하지 않고 서버의 음원을 사용자의 기기로 전달하여 재생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 기존 게임도 이와 유사하게 게임을 구매하고,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기기에서 직접 게임을 실행했다. 하지만 스트리밍 게임은 이와는 다르게 클라우드 서버에서 실행한 게임을..